한국 몽골학의 회고와 전망, 그 30년 지평을 논하다

디지털 아카이브
한 주간의 몽골뉴스와 몽골연구소 학술자료를 제공합니다.

디지털 라이브러리

 
한국서적
한국 몽골학의 회고와 전망, 그 30년 지평을 논하다
2024.01.23 11:52

8b1fc75ff62d63f152f0a0cd09c96591_1706021276_906.png


 도서명(원문)

한국 몽골학의 회고와 전망, 그 30년 지평을 논하다 

 도서명(국문)

한국 몽골학의 회고와 전망, 그 30년 지평을 논하다 

 도서명(영문명)

 -

 도서명(로마자 음역)

 -

 언어

 한국어

 저자

 사단법인 한국몽골학회 엮음;

이성규, 박소현, 송병구, 김기성, 류병재, 에스.바이갈사이항, 아.알리마, 이선아, 데.자야바타르, 윤형원, 박원모, 데.사인빌렉트, 제.바트투르

 출판사

 민속원

 출판지

 서울

 출판년도

 2021년

 자료유형

 단행

 주제

 역사-아시아

 소장기호

 910

 ISBN

 978-89-285-1722-0

 키워드

 동양, 몽골, 언어학, 고고학, 역사학, 문학, 지역학, 정치학, 경제학, 인문학

 원문목차


 국문목차

‧ 머리말

‧ 01 한국 몽골학 30년 회고와 전망

- 한국 몽골학의 현재와 미래

- 한국의 몽골문화예술 연구성과 30년

- 한‧몽 외교 관계 30년 회고와 전망

- 한국의 현대몽골어 연구 30년 : 연구 추세와 동향 파악을 중심으로

- 한국의 몽골사 연구 30년, 회고와 전망

‧ 02 현대 몽골학 연구의 새 지평

- 한‧몽 문학 교류의 최근 동향

- 동북아 학자들의 협력사업

- 한국에서의 몽골 <장가르> 서사시 연구와 쟁점

- 몽골어 연구의 문제점과 개선책

‧ 03 한‧몽 공동 연구의 교류 성과와 미래

- 한‧몽 수교 30주년 기념 한‧몽 공동 고고학 조사‧연구‧전시

- 유네스코 2003 협약 체제하의 몽골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한‧몽 협력과 그 성과 : 몽골 인간문화재 제도구축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몽골에서의 한국학 교육‧연구 동향과 과제

- ‘비전 2050’과 한국‧몽골 관계의 미래

‧ 패널토론 : 신북방 시대, 한국 몽골학의 세계화 전략

‧ 부록 : 한국몽골학회 30년 편람

‧ 참고문헌

 간략 해제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 자리 잡은 우리 조상들은 꽤 오랜 시간 한민족이란 민족 정체성을 가지고 자신들의 언어와 역사, 문화를 지키고 가꾸어 왔다. 반면 한반도의 북서부와 유라시아 대륙의 중앙부에는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는 몽골족이 독자적인 문화를 구축하고 주변의 민족이나 국가와 교류하였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민족과 몽골족은 필연적으로 접촉할 수밖에 없었고 상호 간의 이익을 위하여 상대방을 알아야만 했다. …… 외세와 이념으로 100년간 끊어진 한국 몽골학의 전통은 1990년 대한민국이 몽골과 수교함으로써 다시 복원되었고 한국의 몽골학은 이전의 직접적 연구로 돌아갔다. 근대적인 학문연구의 기초를 다지는 시기를 놓쳐버린 한국 몽골학은 지난 30년간 폭발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하여 공백을 메꾸어왔으며 그 중심에는 〈한국몽골학회〉와 다수의 연구기관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