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활동] 송병구 소장, 류병재∙이선아 공동연구원 등 (사)한국몽골학회 학술총서 저자로 참여

알림 마당
몽골연구소의 모든 소식과 활동을 전합니다.
[연구원활동] 송병구 소장, 류병재∙이선아 공동연구원 등 (사)한국몽골학회 학술총서 저자로 참여
2022.05.12
관리자 0 635

(사)한국몽골학회 학술총서5: '한국 몽골학의 회고와 전망, 그 30년 지평을 논하다'가 출간된 가운데 송병구 소장과 류병재∙이선아 공동연구원이 저자로 참여했다. 또한, 강준영∙나란체첵 전임연구원이 역자로도 참여했다.


df522f3a16a8af6c116e2fc6a6204500_1653552348_943.jpg
 

책소개[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민족이나 국가란 조직이 형성되기 시작하면 그에 상응하여 민족과 국가도 만들어진다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 자리 잡은 우리 조상들은 꽤 오랜 시간 한민족이란 민족 정체성을 가지고 자신들의 언어와 역사, 문화를 지키고 가꾸어 왔다. 반면 한반도의 북서부와 유라시아 대륙의 중앙부에는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는 몽골족이 독자적인 문화를 구축하고 주변의 민족이나 국가와 교류하였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민족과 몽골족은 필연적으로 접촉할 수밖에 없었고 상호 간의 이익을 위하여 상대방을 알아야만 했다. …… 외세와 이념으로 100년간 끊어진 한국 몽골학의 전통은 1990년 대한민국이 몽골과 수교함으로써 다시 복원되었고 한국의 몽골학은 이전의 직접적 연구로 돌아갔다. 근대적인 학문연구의 기초를 다지는 시기를 놓쳐버린 한국 몽골학은 지난 30년간 폭발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하여 공백을 메꾸어왔으며 그 중심에는 〈한국몽골학회〉와 다수의 연구기관이 있었다.


목차 [예스24 제공] 

머리말

1부 한국 몽골학 30년 회고와 전망
한국 몽골학의 현재와 미래__이성규
1. 서론
2. 한국 몽골학과 세계 몽골학
3. 한국 몽골학 기초연구 현황
4. 한국 몽골학 연구의 몇 가지 제안
5. 결론

한국의 몽골문화예술 연구성과 30년__박소현
1. 서론
2. 단행본의 연구성과 검토
3. 학술논문의 연구성과 분석
4. 학문 분야별 연구 경향
5. 결론

한·몽 외교 관계 30년 회고와 전망__송병구
1. 들어가며
2. 한·몽 외교 관계
3. 몽골의 외교 관계에 대한 이해
4. 미래 지향적 한·몽 외교 관계를 위한 전략적 협력방안
5. 나가며

한국의 현대몽골어 연구 30년__김기성
: 연구 추세와 동향 파악을 중심으로
1. 서론
2. 현대몽골어 음운·음성학 연구
3. 현대몽골어 형태·통사론 연구
4. 현대몽골어 어휘·의미론 연구 /문자, 방언, 번역, 통계, 서평(논평)/
5. 기타 /각종 교재, 회화 서적, 사전류(어휘집) 등/
6. 결론

한국의 몽골사 연구 30년, 회고와 전망__류병재
1. 머리말
2. 몽골사 관련 중요 사료의 번역 및 역주
3. 번역서
4. 연구 경향
5. 전망


2부 현대 몽골학 연구의 새 지평
한·몽 문학 교류의 최근 동향__S.Baigalsaikhan

동북아 학자들의 협력사업__A.Alimaa
: 구비문화 분야를 중심으로
1. 한국과 몽골의 구비문학 비교 연구사
2. 양국의 구비문학 연구 전망

한국에서의 몽골 〈장가르〉 서사시 연구와 쟁점__이선아
1. 한국의 비교신화학과 몽골의 영웅서사시 연구
2. 〈장가르〉 서사시 연구의 등장: 개념 정의와 이론 구축
3. 몽골 서사시 장르에 대한 본격적인 비교 연구
4. 한국에서의 최근 〈장가르〉 서사시 연구 동향
5. 전망 및 결론

몽골어 연구의 문제점과 개선책__D.Zayabaatar


3부 한ㆍ몽 공동 연구의 교류 성과와 미래
한·몽 수교 30주년 기념 한·몽 공동 고고학 조사·연구·전시__윤형원
1. 머리말
2. 한·몽 고고학 30주년
3. 한·몽 고고학 교류 30주년을 기념하여

유네스코 2003 협약 체제하의 몽골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한·몽 협력과 그 성과__박원모
: 몽골 인간문화재 제도구축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한·몽 무형문화유산 협력사업 개발을 위한 전략회의
3. 몽골의 인간문화재 제도구축을 위한 지원사업
4. 몽골 무형문화유산 현지조사 및 국가목록 작성
5. ‘몽골의 무형문화유산’ 가이드북 발간
6. 무형유산 정보기반 조성을 위한 지원사업
7. 가시성 제고를 위한 무형유산 영상제작
8. 맺음말

몽골에서의 한국학 교육·연구 동향과 과제__D.Sainbilegt
1. ‘한국학’의 정의와 범위
2. 한국학 교육·연구 동향
3. 앞으로의 과제

‘비전 2050’과 한국·몽골 관계의 미래__J.Battur
1. ‘비전 2050’에서의 한국 관련 부분이나 지목 부분
2. ‘몽골외교정책개념’
3. ‘(몽골)국가안보정책개념’
4. ‘2020~2024 몽골중앙정부 업무계획’
5. 국제관계학에서의 ‘제3의 이웃’ 국가 관념
6. 몽골과 한국의 ‘동반자 관계’
7. 몽골과 한국: 지역협력
8. 외교정책 및 안보정책 협력
9. 지역 내 협력
10. 결론

패널토론
신북방 시대, 한국 몽골학의 세계화 전략

부록 한국몽골학회 30년 편람
(사) 한국몽골학회 역대 회장
(사) 한국몽골학회 연혁(1990년~2021년 10월)
『몽골학』 총목차(창간호~제66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