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몽골학회 학술총서5: '한국 몽골학의 회고와 전망, 그 30년 지평을 논하다'가 출간된 가운데 송병구 소장과 류병재∙이선아 공동연구원이 저자로 참여했다. 또한, 강준영∙나란체첵 전임연구원이 역자로도 참여했다.
책소개[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 [예스24 제공]
머리말
1부 한국 몽골학 30년 회고와 전망
한국 몽골학의 현재와 미래__이성규
1. 서론
2. 한국 몽골학과 세계 몽골학
3. 한국 몽골학 기초연구 현황
4. 한국 몽골학 연구의 몇 가지 제안
5. 결론
한국의 몽골문화예술 연구성과 30년__박소현
1. 서론
2. 단행본의 연구성과 검토
3. 학술논문의 연구성과 분석
4. 학문 분야별 연구 경향
5. 결론
한·몽 외교 관계 30년 회고와 전망__송병구
1. 들어가며
2. 한·몽 외교 관계
3. 몽골의 외교 관계에 대한 이해
4. 미래 지향적 한·몽 외교 관계를 위한 전략적 협력방안
5. 나가며
한국의 현대몽골어 연구 30년__김기성
: 연구 추세와 동향 파악을 중심으로
1. 서론
2. 현대몽골어 음운·음성학 연구
3. 현대몽골어 형태·통사론 연구
4. 현대몽골어 어휘·의미론 연구 /문자, 방언, 번역, 통계, 서평(논평)/
5. 기타 /각종 교재, 회화 서적, 사전류(어휘집) 등/
6. 결론
한국의 몽골사 연구 30년, 회고와 전망__류병재
1. 머리말
2. 몽골사 관련 중요 사료의 번역 및 역주
3. 번역서
4. 연구 경향
5. 전망
2부 현대 몽골학 연구의 새 지평
한·몽 문학 교류의 최근 동향__S.Baigalsaikhan
동북아 학자들의 협력사업__A.Alimaa
: 구비문화 분야를 중심으로
1. 한국과 몽골의 구비문학 비교 연구사
2. 양국의 구비문학 연구 전망
한국에서의 몽골 〈장가르〉 서사시 연구와 쟁점__이선아
1. 한국의 비교신화학과 몽골의 영웅서사시 연구
2. 〈장가르〉 서사시 연구의 등장: 개념 정의와 이론 구축
3. 몽골 서사시 장르에 대한 본격적인 비교 연구
4. 한국에서의 최근 〈장가르〉 서사시 연구 동향
5. 전망 및 결론
몽골어 연구의 문제점과 개선책__D.Zayabaatar
3부 한ㆍ몽 공동 연구의 교류 성과와 미래
한·몽 수교 30주년 기념 한·몽 공동 고고학 조사·연구·전시__윤형원
1. 머리말
2. 한·몽 고고학 30주년
3. 한·몽 고고학 교류 30주년을 기념하여
유네스코 2003 협약 체제하의 몽골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한·몽 협력과 그 성과__박원모
: 몽골 인간문화재 제도구축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한·몽 무형문화유산 협력사업 개발을 위한 전략회의
3. 몽골의 인간문화재 제도구축을 위한 지원사업
4. 몽골 무형문화유산 현지조사 및 국가목록 작성
5. ‘몽골의 무형문화유산’ 가이드북 발간
6. 무형유산 정보기반 조성을 위한 지원사업
7. 가시성 제고를 위한 무형유산 영상제작
8. 맺음말
몽골에서의 한국학 교육·연구 동향과 과제__D.Sainbilegt
1. ‘한국학’의 정의와 범위
2. 한국학 교육·연구 동향
3. 앞으로의 과제
‘비전 2050’과 한국·몽골 관계의 미래__J.Battur
1. ‘비전 2050’에서의 한국 관련 부분이나 지목 부분
2. ‘몽골외교정책개념’
3. ‘(몽골)국가안보정책개념’
4. ‘2020~2024 몽골중앙정부 업무계획’
5. 국제관계학에서의 ‘제3의 이웃’ 국가 관념
6. 몽골과 한국의 ‘동반자 관계’
7. 몽골과 한국: 지역협력
8. 외교정책 및 안보정책 협력
9. 지역 내 협력
10. 결론
패널토론
신북방 시대, 한국 몽골학의 세계화 전략
부록 한국몽골학회 30년 편람
(사) 한국몽골학회 역대 회장
(사) 한국몽골학회 연혁(1990년~2021년 10월)
『몽골학』 총목차(창간호~제66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