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학교 부설 몽골연구소 제3회 국제학술대회>
한·몽 수교 20주년기념 제3회 한·몽 국제학술대회
21세기 신아시아학의
방향모색
¡일시: 2010년 8월 1일(일) 09:00~18:00
¡장소: 칭기스호텔 국제회의실(몽골, 올란바타르)
¡주최: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후원: 단국대학교, 몽골국립사범대학교
개회식 09:00~10:00
개회사: --------------------- 강 신(단국대 인문과학대학장)
환영사: --------------------------- 신종한(몽골연구소장)
축사: ------------------- 페.오치르바트(몽골국 초대 대통령)
축사: -------------- 아.찬지드(몽골국 전 교육문화과학부 장관)
축사: --------------------- 베.자담바(몽골국립사범대 총장)
제1분과 10:00~12:20
좌장: 에스.바이갈사이항(몽골국립과학아카데미) |
(몽골국립과학아카데미)
1. 몽골리안벨트와 신아시아학 / 강신(단국대) 10:00~10:20
2. 신아시아학과 한국문화 / 최원오(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0:20~10:40
3. 몽골족의 기원에 관한 역사학적 연구사 / 에스.얼지바야르(몽골국립과학아카데미, 역사연구소) 10:40~11:00
휴식 11:00~11:10
4. 일본 판화가 인상주의와 상징주의와 미친 영향에 대하여 / 권이오(단국대) 11:10~11:30
5. 몽골 부리아트족 장가(長歌)의 현대적 가창 특징 / 이.붸.콜가네크 (러시아국립과학아카데미) 11:30~11:50
6. 아시아 지역의트라우마와 재난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 안현의(이화여대) 11:50~12:10
제2분과 13:30~16:20
1. 몽골어 단어 ‘ečeg’의 어원과 변천 / 체.어너르바얀, 데.소론존(몽골국립사범대) 13:30~13:50
2. “단어(ug)”에 대한 새로운 정의 / 베. 푸렙-오치르(몽골국립사범대) 13:50~14:10
3. 언어 연구의 새 지평 / 요. 멍흐-암갈랑(몽골국립대) 14:10~14:30
휴식 14:30~14:40
4. 부리아트어에서의 상(相) / 요. 바드마예바(러시아국립과학아카데미) 14:40~15:00
5. 동사의 상적 의미 표현 / 데. 얼지바트 (단국대) 15:00~15:20
6. 몽골비치크 표기 원본을 몽골 신문자로 전사하는 문제에 대하여 / 체.자친 (고르반 에르덴 대학교) 15:20~15:40
7. “Adiltgal(비유)”에 관한 제론 / 제. 바트바타르, 에스.간체첵(몽골국립사범대) 15:40~16:00
8. ‘주몽’의 어원 연구 / 김기선(한국외대) 16:00~16:20
제3분과 13:30~16:20
)
1. Humorous nature of wishes of luck and fortune among the Irkutsk Buryats / 엘.붸.밥키노와(러시아 이르쿠츠크대학교) 13:30~13:50
2. 적벽가 조조의 인물 형상 / 김기형(고려대) 13:50~14:10
3. Lyrical style of small prose of Ch.Tsydendambayev / 라리사 칼카로바 (러시아 부리야트대) 14:10~14:30
휴식 14:30~14:40
4. 한국 소설의 현황과 과제 / 강상대(단국대) 14:40~15:00
5. 몽골의 문예와 데.노로브의 중편 소설 속 늑대 형상의 특징 / 데. 첸드, 데. 어욘게렐(도르노드 대학교)15:00~15:20
6. 한·몽 현대 소설 비교 연구 / 장두식(단국대) 15:20~15:40
7. 몽골의 설화요(說話謠) 연구사 / 에스.오란치맥(내몽고사대) 15:40~16:00
8. 속담과 그 풀이 / 데. 바트톡토흐(교육문화과학부, 교육연구소) 16:00~16:20
에스. 바이갈사이항(몽골과학아카데미), 제.바얀산(몽골국립대), 에스.돌람(몽골국립대), 데 자야바타르(몽골국립대), 베. 하과(울란바타르대), 베. 노로브냠(몽골국립대), 데. 오욘바드라흐(몽골국립사범대), 베. 소미야바타르(몽골과학아카데미), 아. 촉오치르(몽골국립사범대), 에르. 출템수렝(단국대), 최기호(울란바타르대), 김학선(단국대 몽골연구소), 권성훈(몽골 국립대).